2018년 2월 13일 대중교통 출사기(서동탄역, 석계역, 공릉역, 서울역 KTX산천 복합열차)
서동탄역에서 광운대역까지 개조저항 열차의 운행장면을 찍은 다음 공릉역으로 가서 105번 버스를 타고 회현역에 하차해서 남대문시장 근처에서 늦은 점심식사를 하고 서울역에 가서 중련 KTX산천 열차사진을 찍었다.
01
성균관대역에 도착하는 서울교통공사 개조저항 113편성 서동탄행. 성균관대역에는 아직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지 않았고(설치중) 사진 찍을 공간이 있어서 성균관대역에서 사진을 찍었다.
0
서울교통공사의 캐릭터인 또타.
0
서울메트로때 만들어진 태양의 후예를 응용한 '안전의 후예'는 지금도 살아(?)있다.
0
수원역 근처의 ㄱ여객 차고지. 2층버스도 있다. 시간되면 2층버스도 타 볼 것이다.
0
서동탄역에 도착할 무렵에 보인 중저항 1x67편성.
0
이때 1x69편성은 병점기지 끝쪽에 있었다.
0
서동탄역과 동탄신도시를 운행하는 709-1번. 동탄신도시 사람들이 서동탄역보다 병점역을 이용해서 그런지 서동탄역 버스노선은 빈약하다.
배차간격이 빠르면 40분이고 늦으면 2시간이다.
0
서동탄역에 화성시에 의해 완공되었다는 것을 보이기 위해 이 문구가 있다. 원래 서동탄역의 위치는 행정구역상 오산시에 위치해 있어서 오산시에서 삼미역으로 역명을 정해야 한다고 했지만 화성시 돈으로 건설되어서 서동탄역으로 역명이 정해졌다.
개조저항 열차에서 서동탄역부터 광운대역까지 운행하는 장면을 촬영했다.
0
광운대역에 도착했고 잠시후 인천행 VVVF 311x06편성 열차가 광운대역에 도착했다.
이 열차를 타고 석계역으로 갔다.
0
6호선을 타기 위해 석계역에 하차했다.
0
석계역에 도착했을 시간이 1시 51분이고 아직 점심을 먹지 않아서
0
1,000원을 주고 쵸코와플을 사먹었다.
0
와플을 먹으면서 6호선 석계역 승강장으로 갔다.
0
수호랑과 반다비, 또타가 한 자리에...
0
지하철 6호선 연장운행안내문.
01
석계역에 도착하는 봉화산행 열차. 이 열차를 타고 태릉입구역으로 갔다.
0
태릉입구역에 도착해서
0
7호선으로 갈아탔다.(근데 왜 서울여대 광고가 눈에 잘 띄지?)
0
태릉입구역에 도착하는 서울교통공사 7호선 2차분 장암행. 이 열차를 타고 공릉역으로 갔다.
0
공릉역에 내렸다.
01
공릉역 자전거 승차 안내문과 출구안내문. 폰트가 코레일 폰트같다.
0
공릉역 버스정류장에서 105번 버스를 타고 회현역(남대문시장)으로 갔다.
105번을 공릉역에서부터 회현역(남대문시장)까지 운행하는 장면을 찍었다.
회현역 근처 칼국수골목에 위치한 남해식당에서 늦은 점심으로 칼국수와 보리밥, 냉면을 먹었다.(후기를 보려면 사진을 클릭하시오)
0
식사를 마치고 걸어서 서울역으로 갔다. 서울역 열차출발안내. KTX산천 복합열차 두 편성이 서울역에서 출발한다.
그 중 하나는 맨 위의 동해선(포항)과 경전선(마산), 다른 하나는 호남선(목포)과 전라선(여수엑스포)이다. 호남선, 전라선 복합열차는 원래 인천공항2터미널역에서 출발하는 열차인데 평창올림픽으로 인해 인천공항2터미널 착발 KTX가 모두 강릉역으로만 운행하기 때문에 서울역에서 출발한다.
0
중련 KTX산천이 한 승강장 양쪽에 위치해있다. 왼쪽은 호남선, 전라선 복합열차고 오른쪽은 동해선, 경전선 복합열차다.
0
계단을 내려와서 찍은 KTX산천 복합열차.
0
오른쪽에 위치한 동해선(포항), 경전선(마산) KTX산천 복합열차. 동대구역까지는 복합열차로 운행하고, 동대구역에서 각각 분리되어 포항, 마산으로 운행한다.
01
왼쪽에 위치한 호남선(목포), 전라선(여수엑스포) KTX산천 복합열차. 익산역까지는 복합열차로 운행하고, 익산역에서 각각 분리되어 목포, 여수엑스포로 운행한다.
2018년 2월 8, 9일 대중교통 출사기(1호선 광운대-서동탄 전 구간, 경강선 인천공항2터미널-강릉)
2018년 2월 8일: 1호선 서울교통공사 개조저항 열차 안에서 광운대역에서부터 서동탄역까지 운행하는 영상을 촬영했다.
012
이문차량기지에 ITX새마을 열차가 입고되어 있었다.
광운대역에서 열차 사진을 찍으려고 했으나 스크린도어가 70% 설치되어서 찍는 대신 과거에 찍은 열차사진을 활용했다.
서울교통공사 개조저항 열차 안에서 광운대역부터 서동탄역까지 운행하는 장면을 촬영했다.
01
서동탄역에서 개조저항 열차를 타고 출발했다. 병점차량기지에 동글이(VVVF), 누리로, 중저항 열차가 있었다.
01
중저항 1x67편성. 지난번에 봤던 중저항과는 좀 달랐다. 자세히 보면 슈트락 일부가 철거되어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01
중저항의 뒷모습. 아무래도 폐차준비를 앞두고 있는거 같다는 느낌이 든다.
0
수원역에 내렸다. 간발의 차로 아쉽게 새마을호의 전체 모습을 찍지 못했다. 수원역에서 내려 버스를 타고 복학신청을 하러 학교로 갔다.
학교에서 복학신청을 하고 점심으로 코다리냉면을 먹었다(후기를 보려면 사진을 클릭하세요).
2월 8일 대중교통 출사 끝
2018년 2월 9일: 인천공항2터미널에서 강릉역까지 KTX가 한시적(올림픽 기간 동안만)으로 운행해서 인천공항 착발 강릉행 KTX를 타러 갔다.
0
공항철도 홍대입구역 스크린도어 벽에 터미널별 항공사 이용안내문이 있다.
0
홍대입구역에 도착하는 인천공항2터미널행 열차. 이 열차를 타고 1터미널로 갔다.
01
어라? LED네. 지난번에 인천공항 2터미널발 목포행 KTX를 타러 갈때 탄 열차는 LCD모니터로 바뀌어 있어서 모든 공항철도 일반열차 내부의 LED전광판이 LCD모니터로 바뀐줄 알았는데 아니었다.
0
인천공항1터미널역에 내렸다. 무료셔틀버스를 타고 2터미널로 가기 위해서였다.
0
인천공항1터미널역에 공항철도 캐릭터 실물이 있었다. 남색 캐릭터와 하늘색 캐릭터가 있는데 이름이 각각 스피(Spee), 나르(Nareu)다.
스피는 직통열차, 나르는 일반열차를 상징하는 캐릭터다.
0
KTX 인천공항1터미널역 열차 도착안내. 평창올림픽 기간동안 인천공항 KTX는 강릉으로만 운행한다.
그래서 기존 인천공항 착발 목포, 여수, 진주, 부산, 포항행 KTX는 서울, 용산 착발로 단축되고 동시에 광명역에 위치한 도심공항터미널을 이용하게끔 광명역에 임시정차한다.
0
인천공항 1터미널에서도 평창올림픽 공식마스코트인 수호랑과 반다비를 볼 수 있다.
01
3층에서 2터미널로 가는 버스에 탑승했다.
1터미널에서 2터미널로 가는 영상. 5배속 처리한 이유는 원래 동영상 원본에 어떤 가수 음악이 라디오로 나와서 저작권에 걸리는 바람에 수정을 할 수 밖에 없었다.
0
2터미널에 도착해서 바로 KTX승강장으로 갔다. 인천공항2터미널역에서 출발대기중인 강릉행 KTX평창(산천) 807열차.
이 열차는 원래 2터미널역에서 출발해 1터미널, 진부, 강릉역에만 정차하는데 청량리역에 추가 정차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다른 시간에는 모두 2터미널, 1터미널, 진부, 강릉 이렇게만 정차하는 열차가 있었으나 모두 매진되어서 이 열차를 탈수밖에 없었다.
0
KTX평창은 원래 산천인데 운전칸 옆면에 수호랑과 반다비 그림이 그려져있다.
참고로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평창올림픽 공식공급사다.
0
기관사가 탑승하는 문 양 옆에는 한복을 입은 수호랑과 반다비가 그려져있다.
0
행선표시가 강릉으로 되어있는 KTX. 고속열차의 한 종류인 EMU-250이 개발되는 2020년까지만 경강선에서 KTX 운행을 한다.
0123
열차 안에서 "Kiss the rain"가야금 음악을 들으며 기다렸다.
2터미널에서 강릉역까지 운행하는 장면을 찍었다. 왠만하면 터널, 지하구간은 생략하는데 경강선 구간의 터널, 지하는 생략하지 말아달라는 요청이 있어서 생략하지 않았다. 몇분 지연먹고 강릉역에 도착했다. 1터미널역에서 외국인들이 많이 탑승해서 대화를 해서 영어로 떠드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내가 탄 객차에 어린이도 탑승했는데 외국인들 목소리가 커서 잘 안들린다.)
아! 그리고 진부역에 도착했을 때 외국 방송사 기자가 있었다.
0
타고온 열차는 상봉행으로 바뀌었다.
0
새로 신축된 강릉역사. 기존 강릉역 승강장은 지상에 있었으나 현재는 지하에 있다. 이 공사 과정에서 강릉 시내의 건널목과 선로, 철교가 모두 철거되었다.
금요일에는 대전에서 ITX청춘을 타고 용산으로 갔고 제천에서 부전으로 가는 야간 무궁화호 열차를 타고 부전역에 가서 새마을호 사진을 찍은 후 부산역에 가서 구포경유 서울행 KTX를 타고 서울역으로 갔다가 신해운대행 ITX새마을 열차를 타고 해운대로 갔다.
0
수원역에 도착한 신창행 누리로 1722열차. 원래대로라면 사진을 찍었을 시간에 출발해서 수원역에 없어야 하나 2분 지연을 먹어서 찍을 수 있었다.
0
수원역에 도착하는 신해운대행 ITX새마을 1041열차. 이 열차를 타고 대전역으로 갔다.
0
대전역에 도착했는데 몇분 지연먹어서 출발 5분전에 대전역 ITX청춘 승강장에 도착할 수 있었다.
0
원래 ITX청춘은 경춘선에서만 운행하던 열차인데 경춘선 급행전철의 부활로 운행횟수를 감축하게 되었고, 그 감축분을 경부선으로 투입했다. 용산-신도림은 급행전철승강장, 수원-평택은 전철승강장을 이용하고 천안, 조치원, 대전역에는 별도의 고상승강장을 설치했다. 천안역에도 전철승강장이 있으나 장항선 승강장에만 있었다. 그래서 천안역 경부선 승강장에 고상승강장이 설치된 것이다.
0
ITX청춘 2층석 내부.
2층석에서 대전부터 용산까지 운행하는 장면을 촬영했다.
0
7분 지연으로 용산역에 도착했다.
0
용산역에 지연도착한데다가 촬영한 영상들을 컴퓨터에 저장하던 중에 대전행 ITX청춘 열차가 출발해서 계획을 바꿨다.
서울에서 놀다가 청량리에서 부전으로 가는 밤 기차를 타고 부전역에 가서 새마을호를 찍고 부산역에서 구포를 거쳐 서울로가는 KTX를 타고 서울로 간 다음 신해운대행 ITX새마을 열차를 타고 신해운대로 가는 것으로...
앞에서 말했듯이 청량리에서 출발해 부전역으로 가는 무궁화호를 타고 부전역으로 갔다. 잠은 이 열차 안에서 잤다. 참고로 청량리발 부전행 무궁화호는 8시간 걸리는 열차다.
0
부전역 출발열차안내. 정말 다양하다. 맨 앞의 철암행 새마을이 찍고자 하는 임시열차이고 나머지는 정규열차다.
와~ 청량리, 동대구, 정동진, 목포 정말 다양하다(?).
아! 여기서 철암행 새마을호는 태백눈꽃열차라고 한다.
01
부전역에서 새마을호 사진을 찍고(부전역 구조상 이렇게밖에 찍을 수 없었다)
새마을호가 출발하는 동영상을 찍었다.
0
새마을호를 찍고나서 부전발 목포행 무궁화호 1951열차를 타고 구포역으로 갔다.
0
구포역에서 하차한 후 동대구발 부산행 무궁화호 1311열차를 타고 부산역으로 갔다.
0
부산역에 도착했을 때 반대편에 SRT열차가 있어서 사진을 찍었다.
0
구포경유 서울행 KTX 254열차가 위치한 승강장으로 간 다음
0123
열차에 탑승했다.
서울행 KTX 254열차의 운행장면을 촬영했다.
0
서울역에 정시도착한 후 촬영한 영상들을 컴퓨터에 저장하고나서
0
신해운대행 ITX새마을 1043열차를 타러 갔다.
이 열차를 타고 신해운대역까지 갔다. 열차 안에서 갑자기 졸리기 시작했고 많이 실수했다.
0
신해운대역에 1분 빨리 도착했다.
0
신해운대역에 도착했을 때 찍은 ITX새마을 사진.
01
신해운대역 열차시간표.
0
잠시 신해운대역 바깥으로 나갔다. 신해운대역은 반지하 역이고 군부대와 인접해 있다.
0
신해운대역 1회용 교통카드 발매기. 동해선 광역전철은 수도권처럼 1회용 교통카드를 쓰고 부산지하철은 마그네틱 승차권을 사용하기 때문에 부산지하철-동해선 환승은 교통카드로만 가능하다. 1회용 교통카드로는 절대로 부산지하철 탑승 못한다!
어라? 내부가 좀 색다르네... KOREA GRAND SALE을 홍보하려는 열차같다. 홍대입구역에서 탔을 때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자세히 보지 못했지만.
0
바닥에는 공항철도 캐릭터가 그려져있다. 남색은 직통열차, 하늘색은 일반열차를 뜻한다.
0
출입문에도 공항철도 캐릭터가 그려져있다.
0
9시 무렵에 인천공항1터미널역(구 인천국제공항역)에 도착했는데 9시 10분에 부산행 KTX가 1터미널역에서 출발한다고 한다.
0
9시 10분 전에 인천공항2터미널역에 도착했다. 유리창에 보이는 KTX가 내가 탈 목포행 KTX 511열차다.
0
공항철도에서 하차해 KTX를 타러 갔다. 왼쪽 모니터에 목포행 KTX 511열차의 정차역이 적혀있다.
'인천공항T1-검암-서울-용산-광명-오송-익산-정읍-광주송정-나주-목포'
0
아직 시간이 남아서 KTX사진을 찍었다. 인천공항2터미널역이 KTX를 찍을 공간이 별로 없을것이라고 생각했는데... 막상 가보니 KTX를 제대로 찍을 공간이 있었다. 그러고보니 지난번에 2터미널역에서 KTX진입장면을 사진으로 찍었는데 동영상으로 찍지 못한게 후회가 된다.
0
홍대입구역에서 타고 온 공항철도 일반열차가 회차선에서 출발해 승강장으로 진입하고 있다. 2터미널 KTX승강장의 끝부분은 막혀있지만 공항철도 일반, 직통열차에 대해서는 회차선이 있다.
0
여기까지 찍고 열차에 탑승했다.
0123
열차안에서 가야금으로 연주되는 'Kiss the rain'음악을 들으며 열차가 출발하기를 기다렸다.
인천공항2터미널에서 KTX를 타고 목포역으로 갔다.
01
목포역에 정시도착했다.
0
이 무궁화호는 광주발 목포행으로 운행한 무궁화호 열차이고 내가 알기로는 운행이 종료된지 3시간이 지났는데 아직도 이 승강장에 있었다.
0
어라? 발전차에서 왠 연기가? 여기까지 찍고 점심을 먹으러 갔다. 그 전에 정읍역으로 가는 SRT표를 구입했다.
원래는 '백종원의 3대천왕' 방송에 나왔던 돈까스집을 가려고 했는데 문을 열지 않아서 급하게 지난번에 갔었던 태동식당으로 갔다.
(사진을 클릭하면 후기를 보실 수 있습니다.)
0
식사를 마치고 얼른 목포역으로 갔다. SRT출발시간이 거의 다 되었기 때문이다.
0
수서행 SRT 660열차에 탑승했다. 이 열차를 타고 정읍역으로 갔다. 시간이 없어서 이렇게만 사진을 찍었다.
0
열차 안에서 SRT잡지를 읽었는데...
01
암호화폐 관련내용.
0123
'테란의 황제'라는 별명을 가진 임요환과의 인터뷰.
0123
익산역 주변 맛집. 고려당과 정순순대는 가본적이 있는 식당이다.
0
정읍역에 내려서
01
KTX산천 열차사진을 찍고
0
용산행 ITX새마을 1116열차로 갈아탔다. 정읍역은 과거 KTX와 일반열차가 같은 곳에 정차했지만 호남고속철이 개통한 이후로는 일반열차 승강장과 KTX승강장이 분리되었다. 이 열차를 타고 수원역으로 갔다.